반응형
Acquisition(취득) 는 프레임그래버(보드) 쪽의 “캡처 채널/구성” 을 뜻해요.
Sapera LT에서 용어를 정리하면:
- Server: PC에 꽂힌 프레임그래버 보드(또는 그 드라이버 인스턴스).
- Acquisition: 그 서버(보드) 안에서 실제로 영상을 받아들이는 논리 채널 또는 카메라 구성. SapAcquisition 객체로 다룹니다. CamFile(.ccf)을 로드해서 포트, 해상도, 픽셀 포맷, 탭/링크 설정, 트리거 라우팅 등 프레임그래버 측 신호/타이밍/포맷을 정의합니다.
- AcqDevice: 실제 카메라의 GenICam/장치 Feature(노출, 게인 등)를 다루는 카메라 장치 핸들 (SapAcqDevice, SapFeature). 즉 카메라 내부 파라미터.
- Buffer / Xfer: 취득 채널에서 메모리 버퍼로 DMA 전송하는 경로(SapBuffer, SapAcqToBuf).
왜 “Acquisition 개수”가 여러 개일 수 있나?
- 한 프레임그래버 보드에 여러 물리 포트(예: Camera Link 포트 A/B)나 여러 논리 채널이 있어 동시에 여러 카메라를 달 수 있는 경우.
- 같은 보드라도 서로 다른 CamFile 구성(예: 라인스캔/에어리어, 해상도/링크 폭이 다른 구성)을 여러 개 등록해둘 수 있어요.
- Sapera는 이 각각을 Acquisition 리소스로 노출하고, 코드에선 SapManager.GetResourceCount(server, ResourceType.Acq)로 “이 보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취득 채널/구성의 개수”를 물어봅니다.
라인스캔과의 관계
- 라인스캔에서는 “프레임”이 결국 N개의 라인들을 프레임그래버가 쌓아 만든 이미지예요.
이때 라인 클럭/트리거, 라인 집계 높이, 라인레이트 동기 같은 타이밍은 Acquisition(프레임그래버) 이 관리하고,
게인/노출 같은 광학 파라미터는 카메라(AcqDevice) 가 관리합니다.
즉,
- SapAcquisition = 보드에서 카메라 신호를 어떻게 받아서 메모리에 올릴지(링크 폭, 포맷, 트리거 라우팅, 라인 누적 등) 정의/제어.
- SapAcqDevice/SapFeature = 카메라 자체 설정(Gain, Exposure, TriggerMode 등) 제어.
- “서버의 Acquisition 개수” = 그 보드가 현재 노출하는 캡처 채널/구성의 수 (물리 포트 수 또는 등록된 논리 구성 수).
반응형